[뉴스메이커] 고려불상 소유권은 어디?<br /><br />이슈 속 주인공을 만나보는 시간, 입니다.<br /><br />지난 2012년 절도단이 일본에서 훔쳐 온 고려시대 불상, 금동관음보살좌상이 또다시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.<br /><br />소유권이 어디냐를 두고 10년 넘게 법적 싸움이 이어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기약 없이 계속되고 있는 법적 분쟁의 끝은 어디일까요?<br /><br />오늘의 뉴스메이커에서 만나봅니다.<br /><br />금동관음보살좌상!<br /><br />단아한 체구에 미소 띤 얼굴, 화려하고 정교한 장식까지, 금동관음보살좌상은 현존하는 고려 후반기 불상 중 최고 걸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사료로서도 조성 연대와 조성 사찰, 조성 목적 등을 알 수 있는 유일한 예로 평가받으며, 국보급 보물로 여겨져 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국보급인 이 불상은 10년 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가 아닌 일본에 있었는데요.<br /><br />일본에 있었던 걸로 추정되는 건 무려 600년!<br /><br />학계에선 17세기 후반 이전에 약탈당한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.<br /><br />이 불상의 소유권은 여전히 정해지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법적 싸움이 시작된 건, 10년 전!<br /><br />문화재 절도범들이 일본의 쓰시마 섬에서 국보급 문화재인 금동관음보살좌상 등을 절도해 국내로 들여왔는데요.<br /><br />이후 정부가 압수했지만, 충남 서산의 부석사가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긴 법적 다툼이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1심 재판부는 부석사의 손을 들어줬는데요.<br /><br />왜구가 비정상적 방법으로 가져갔다고 보는 게 옳다는 취지였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정부는 항소를 했습니다.<br /><br />항소심에서 또 다른 반전이 일어났는데요.<br /><br />정부와 부석사 간의 소유권 분쟁에 일본의 관음사까지 뛰어들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일본의 관음사는 창설자인 종관 스님이 불교 수행을 위해 조선에 왔다가 정당하게 얻은 불상이라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서산의 부석사 측은 왜구였던 종관 스님의 선대가 서산 지역을 침탈했고, 이 과정에서 불상을 약탈해갔다고 주장했는데요.<br /><br />그러나 2심 재판부는 일본의 손을 들어줬습니다.<br /><br />"부석사가 불상을 제작했다는 사실관계는 인정된다.<br /><br />하지만 당시 부석사가 현재의 부석사와 동일한 종교단체라는 입증이 되지 않아 소유권을 인정하기 어렵다" 2심 재판부가 1심 판결을 뒤집고 일본의 소유권을 인정한 배경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법적 다툼은 끝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부석사 측은 "용기 있는 판사가 있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"며 대법원 상고 의사를 밝혔는데요.<br /><br />10년 넘게 이어져 온 금동관음보살좌상의 소유권 분쟁!<br /><br />기약 없는 법적 분쟁의 끝, 고려 불상은 어디에 터를 잡게 될까요?<br /><br />지금까지 '뉴스메이커'였습니다.<br /><br />#고려불상 #금동관음보살좌상 #불상소유권 #일본_관음사 #대법원_상고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